본문 바로가기

수업 내용/JSP3

(53일차) 1월 6일 EL (Expression Language) 표기법 : ${ } ${v1 } ${v2 } ${v1 == v2 } ${!empty v3} EL 출력순서 ${xx.v1 } ${xx.v2 } ${xx.v3.name } JSTL (JSP Standard Tag Library) - JSP 표준 태그 라이브러리(여러 프로그램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코드를 모아놓은 코드의 집합)의 약어 - 자신만의 태그를 추가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 - 주로 JSTL의 Core에서 c를 사용하여 , 등을 사용함 JSTL 사용예제 50보다 큽니다. /*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*/ 10보다 작습니다. 20보다 작습니다.. 2022. 1. 6.
(52일차) 1월 5일 JSP 내장객체 - JSP 내에서 선언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객체 (Tomcat(WAS)이 이미 만들어놓은 객체를 사용) JSP 내장객체의 종류 1. pageContext - 서블릿 혹은 JSP 하나 당 생성되고 소멸됨 - forwarding(하나의 요청에 두개의 서블릿 or JSP 실행)하는 경우에도 소멸됨 2. request 저장공간 (※ 중요) - 요청 당 1개 생성됨 (요청이 들어오는 순간 생성되고, 응답이 완료되는 순간 소멸됨) - 라이프 사이클이 굉장히 짧음 - MVC 모델의 핵심 - forwarding과 연동 3. session 저장공간 (※ 중요) - 라이프 사이클은 하나의 접속이 유지될 때까지 생존한다. (즉, 접속(웹 브라우저)을 종료하면 소멸됨) - 접속(웹 브라우저) 당 1개씩 .. 2022. 1. 5.
(51일차) 1월 4일 [JSP] 설치: Apache Tomcat(웹 서버 프로그램) 다운로드 => 설치 => 이클립스 연동 이클립스 설정 1. General => Workspace 탭 => Text file encoding 항목에 Other: UTF-8로 설정 2. Web => 각 CSS, HTML, JSP Files 탭 => Encoding: ISO(UTF-8)로 설정 3. 서버창 아래 더블 클릭 => Tomcat 9.0 server 설정 4. Dynamic Web Project로 프로젝트 만들기 http://localhost:8181/P2022_1/aaa.html 경로 * /P2022_1 : 톰캣 ROOT 폴더 위치 * /aaa.html : 프로젝트(webapp) ROOT 폴더 위치 HTTP 상태 404 - 찾을 수 없음.. 2022. 1. 4.